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SMART 목표 설정법으로 2025년 시작하기!

Thoughts & Reflections

by 라미 | Rami 2024. 12. 19. 12:47

본문

새해가 시작되면 누구나 새로운 다짐과 목표를 세웁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목표를 세웠다가 중도에 포기하거나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죠.

여기서 중요한 점은 단순히 "목표를 세운다"가 아니라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SMART 목표 설정법을 활용해서 2025년을 효과적으로 시작해보려고 합니다.

 


SMART 목표란 무엇일까요?

SMART는 효과적인 목표 설정을 위한 5가지 단어의 앞 자를 딴 약자입니다. 

 

S: Specific 구체적인

목표는 모호하지 않고 구체적으로 명확하게 해야합니다. 목표가 구체적이지 않으면 어디로 가야 할지 모호해집니다. 그래서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무엇을, 어떻게, 왜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한다면 계획 수립과 실천을 더 용이하게 만들죠.

단순하게 운동을 많이 한다는 목표 보다는 "주 몇회, 몇 분씩 조깅을 한다."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입니다.

 

 

M: Measurable 측정가능한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측정 가능하지 않으면 진척 상황을 알 수 없고, 성과를 평가할 수 없습니다. 성취감을 느끼기 위해서는 목표 달성 과정을 단계별로 체크하고, 그 성과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순하게 살을 뺀다는 것보다는 "몇 개월 동안 몇 킬로그램을 감량할 거야"와 같은 것이죠.

 

A: Achievable 달성 가능한

목표는 현재 상황에서 실현 가능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달성 불가능한 목표는 좌절감만 주고, 동기를 잃게 만듭니다. 반면 도전적이지만 가능한 목표는 성취감을 주고 더 높은 목표를 향해 나아갈 동기를 부여해 줍니다.

한 달 안에 전문가 수준의 외국어를 배우기와 같은 것은 외국어 초짜에게는 비현실적인 목표입니다. 그러기에 "매일 30분씩 외국어 공부를 할 거야"와 같이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세요.

 

R: Relevant 관련성 있는

목표는 나의 장기적인 미래나 삶의 방향성과 연결되어야 합니다. 목표가 내 삶과 관련이 없으면 의미를 쉽게 잃거나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지속하기도 어렵죠. 목표는 자신의 가치관, 장기적인 비전, 혹은 현재 상황과 연관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목표가 나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상상하면 지속하기도 쉽죠. 의미 있는 목표는 달성 후 만족감도 더 크며, 삶의 방향성을 잡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T: Time-bound 시간제한이 있는

언제까지 목표를 달성할 것인지 명확하게 해야 합니다. 시간제한이 없으면 실행을 미루거나 목표를 끝내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시간제한은 마감효과(Deadline Effect)를 만들어 목표에 집중하게 만들죠. 언젠가는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겠다는 것보다는  "2025년 한 해 동안 새로운 기술을 습득하겠다."와 같은 목표가 더 좋습니다. 

또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일정을 짜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시간제한이 있으면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고, 더 효과적으로 자원을 배분할 수 있습니다. 명확한 마감 시점은 결과물을 점검하고,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할 기준을 제공하죠.

 

728x90

관련글 더보기